본문 바로가기
스파르타/Web

[Web] 파이썬 기본문법 - ( week 3 )

by bakcoding_sparta 2023. 4. 19.

 

파이썬의 문법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비교했을 때 직관성이 높고 쉽게 작성할 수 있다.

 

변수

# 파이썬은 변수 선언시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다.
a = 2
b = 3
print(a + b)

c = '대한'
d = '민국'
print(c + d)

파이썬에서 변수를 선언할때는 따로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다.

 

#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구조는 동일하다.
e = ['사과', '배', '감']
print(e[0])
print(e[1])
print(e[2])

f = { 'name' : '영수', 'age' : 30 }
print(f['name'])
print(f['age'])

리스트와 딕셔너리 구조와 접근 방식도 다른 언어들과 차이가 없다.

 

함수

함수의 경우 파이썬에서 작성할 때 주의할 필요가 있다.

# def 함수 선언 정의시 탭 필수
def hey():
    print('hey~!')
hey()

def sum(a, b, c):
    return a+b+c
result = sum(1, 2, 3)
print(result)

def 키워드를 통해서 함수를 선언할 수 있는데 함수의 정의는 세미콜론으로 구분되며 반드시 다음줄에서 탭을 한 이후에 작성되어야 한다.

 

조건문

# 조건문 if 조건 다음 줄 탭 실행할 내용
age = 25
if age > 20:
    print('성인입니다.')
else:
    print('청소년입니다.')

조건문 키워드는 일반적인 언어들과 유사하다. 차이점은 조건을 정의하는 부분이 괄호가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.

함수와 마찬가지로 내부는 다음줄 탭 이후에 작성되어야 한다.

 

반복문

# 반복문
ages = [5, 10, 13, 23, 25, 9]
for a in ages:
    print(a)

for a in ages:
    if a > 20:
        print('성인입니다.')
    else:
        print('청소년입니다.')

반복문은 for ~ in ~ 형태로 표현되며 마찬가지로 다음줄 탭 이후의 내용이 진행된다.

내부에서 조건문을 통해서 분기 역시 가능하며 이 경우 탭을 좀 더 유의해야 한다.